인텔 | AMD | ||||||||||||||||||||||||||||||||||||||||||||||||||||||||||||||||||||||
---|---|---|---|---|---|---|---|---|---|---|---|---|---|---|---|---|---|---|---|---|---|---|---|---|---|---|---|---|---|---|---|---|---|---|---|---|---|---|---|---|---|---|---|---|---|---|---|---|---|---|---|---|---|---|---|---|---|---|---|---|---|---|---|---|---|---|---|---|---|---|---|
|
|
코드네임별로 씨피유의 장착부위가 조금씩 틀리다는 것과 FSB및 기타 성능등이 차이나는 부분입니다
인텔의 경우 소켓370,소켓771, 소켓478, LGA775등의 소켓이 있으며
AMD의 경우 소켓 754,소켓A,소켓939,소켓AM2, AM2+등이 있습니다
제조사>계열>코드네임>세부성능의 구별에 따른 이름
예)인텔-->코어2듀오-->콘로-->콘로E6750
싱글코어 물리적 코어가 하나
듀얼코어 물리적 코어가 두개
쿼드코어 물리적 코어가 네개
참고로 펜티엄4군 중에서 프레스캇의 모델은 HT기술을 가졌을 경우 가상으로 2개의 코어기술을
부린적이 있습니다. 하이퍼쓰레딩이란 기술로 여기서는 논리적으로만 2개의 코어였고 물리적으로는
한개의 코어를 가진 씨피유 입니다.
펜티엄D군으로 와서야 물리적으로 2개의 코어를 가진 씨피유가 등장
제조공정도 65나노 기술을 가진 프레슬러의 경우 물리적으로 코어가 두개인 씨피유였습니다
모바일 제품군을 플랫폼 세대별로 나누어 말씀드리면 인텔의 경우
1세대 센트리노 (Centrino) : 펜티엄M 베니아스 프로세서 사용 정확한 코드명으로 CARMEL
2세대 소노마 (Sonoma) : 펜티엄M 도선프로세서 사용
3세대 나파 (Napa) : 센트리노 듀오 , 코어듀오 요나 프로세서를 사용
4세대 산타로사(Santa Rosa) : 코어2 듀오 메롬 프로세서를 사용
일단 정확한 구별은
인텔 프로세서 + 인텔 시스템 칩셋 + 인텔 무선랜 카드
상기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플랫폼이어야 정식 센트리노 구별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