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민(melamine)은 염기성 유기 화합물이며 분자식은 C3H6N6 입니다. 공업용 화학물질로
암모니아(NH3)와 이산화탄소(CO2)로 합성된 요소[CO(NH2)2]를 가열하여 생산되는 물질입니다.
6 (NH2)2CO → C3H6N6 + 6 NH3 + 3 CO2
◆ CAS번호 108-78-1인 화학물질
◆ 2,4,6-트리아미노(triamino)-1,3,5-트리아진(triazine) 또는 시아누르아미드(cyanurotriamide)라고도 한다.
◆ 무색의 주상(柱狀) 결정으로 분자량 126.12, 녹는점 347℃(분해), 비중 1.573(14℃)이며, 승화성이 있다.
◆ 일반적인 상온의 물에는 약간(1리터에 약 3g) 녹지만, 수온이 높아지면 비교적 잘 녹는다. 약 350°C 이상의 온도에서는 파괴되면서 융해가 일어난다.찬물이나 에탄올에는 잘 녹지 않고, 에테르에는 녹지 않는다.
◆ 가압 하에서 디시안디아미드와 액체 암모니아를 반응시키면 생긴다.
◆ 포르말린과 함께 가열하면 축합반응에 의해서 멜라민수지(樹脂)가 된다.
◆ 멜라민은 시안아미드(cyanamide)의 3중화합체(trimer)이다. 시안아미드처럼 질량의 66%가 질소이다
멜라민이 상온의 물에서도 녹는다네요 ;;
멜라민식기 사용도 자제해야겠습니다
쥐에 대한 치사량 LD50은 >3000 mg/kg이며 다량 섭취할 경우
신장결석과 방광결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량을 장기간 섭취할 경우 신장 결함에 의하여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실험용 수컷 흰쥐(랫트)에 4주 동안 매일 4,000 ppm (4,000mg/kg) 이상 투여시 방광결석,
1,000 ppm (1,000mg/kg) 이상 투여시 방광비후가 관찰되었다고 합니다.
다량을 섭취했을경우는 문제가 되지만 적은양을 매일 섭쉬해도 해가 없다는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입니다
멜라민의 경우 실험쥐에 대한 반수치사량은 3,161 mg/kg으로 알려졌다.
이는 멜라민의 독성이 1 mg/kg의 니코틴보다 약 3,000배 정도 약하지만 10,000 mg/kg의 에탄올(술)보다 약 3배 정도 강하다고 비교할 수 있다.
화학물질에 있어서 치사량이 2000 mg/kg 이상이면 독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에서 문제를 일으킨 분유의 경우 위의 치사량에 가까운 양의 멜라민이 검출되었습니다
그에 비해 현재 멜라민 검출 혹은 의심 제품에서 검출된 멜리난의 양은 아주 미미하다고 할수있습니다
우유, 분유, 이유식 등 유제품에 물을 섞은 것을 숨기기 위하여
단백질의 주 구성성분인 질소(N) 성분이 풍부한 멜라민을 첨가하는 것입니다.
동물 사료 및 유제품의 품질검사 과정에서 고가의 단백질 농도 측정법 대신
질소의 함량을 측정하는 질소성분 함량 분석법(Kjeldahl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도덕적인 동물 사료업체 및 우유 가공업체에서 고질소화물인 멜라민을 사료나 우유 등의 제품에 첨가해
질소함량을 높이는 방법으로 품질검사를 통과하고 질소함량이 높아져 고급제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참조: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7&dir_id=704&eid=+bQNbeKQQK8hVRfVHQAMn09LOI8qO2/O&qb=uOG287nO&pid=fMk3Uloi5Twssu3IjnCsss--333597&sid=SObFfjCk5kgAADjB06w,
위키피디아 ,네이버사전